현재 알츠하이머 신약 2상 임상결과 근황
댓글
0
3시간전
작성자 :
드가쥬아

현재 추정중인 치매의 원인은 다양함
그 중 과거 주목받았던
치매 부산물 아밀로이드 베타가 원인이다!
라는 인식이 있었지만
연구하다보니 아닌거 같은지
점차 다른것도 연구중
하지만
이번 임상결과는 아밀로이드 베타 관련임
하지만
이번 임상결과는 아밀로이드 베타 관련임
아밀로이드 베타를 없애면
인지능력 상승 등의 효과가 있을꺼라 생각한 듯
그래서 사람들은
Trontinemab 라는 트론티네맙이라는 신약을 개발함
얘는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하는 기본 기능에
추가로
뇌 속엔 약물이 통과되지않게 막는 뇌혈관장벽이 있는데
얘를 통과시키는 기능도 동시에 가지고 있음
이로인해 뇌로 더 잘 들어가면서
약의 투입량을 줄일 수 있음
온 몸을 약에 쩔게하여 부작용이 생기는 방식이 아니라
적게 투입해서 부작용을 줄이자 같은 논리
1상이 잘됐는지 114명을 모아서
2상 임상실험을 진행함
결과적으론 8주차에 60% 제거했고
28주차에 91% 제거했음
부작용은 5%
얘 말고 다른 약물은 부작용이 13%임
아무튼 결과는 괜찮아보여서 올해 수천명 모아서
3상 임상진행을 하려함
3상 진행시엔
얘네가 만든 또다른 개발품인
초기치매 혈액검사도 동시에 테스트 할 예정
쟤는 FDA승인까진 못받아서
이번에 동시승인 받으려고 3상에 사용하려는듯
얘를 통해 결과적으로
ㄹㅇ 인지능력 상승이라던가
치매 지연이라던가
뭐라도 유의미한 결과가 존재하는가? 를 3상에서 입증할 예정
여기까지보면 희망적일 수 있겠지만
사람들은 부정적으로 바라봄
이전에 조건부 FDA 승인을 받았던 아두카누맙과
동일한 논리이기 때문임
얘도 또한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거하는것이 목표였고
3상 임상실험도 진행했는데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긴 했음
그러나
전문가들은 저 유의미한 결과가
불확실하고 상당히 애매하다고 말함
부작용도 좀 있었음
그래서 역사 속으로 사라짐
아두카누맙은 아밀로이드 베타 제거율을
측정안해서 얼마나 제거하는진 모르겠다만
이번껀
아밀로이드 베타를 더 많이 제거하는거 같고
부작용도 5% 정도라서
상당히 안정적이고 개선된 건 맞는거 같은데
중요한건 아밀로이드 베타를 없애면
진짜 인지개선이나 치매지연되는거 맞긴하냐면서
이 이론 자체를 의심하는중
너무 희망적인 생각을 가지지 않으면 좋겠다나봄
아무튼 얘는 치매 치료보다는
치매 지연 쪽이 맞는거 같음
요약
1
아밀로이드 베타의 치매원인 이론은 과거 주목받았지만
이젠 다른 방향으로 넘어가는중
2
이번에 아밀로이드 베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신약의
2상 임상결과가 발표됨,
안정성 위주로 부작용을 줄임
3
사람들은 과거 실패사례를 기반으로
이거 진짜 효과있는거 맞냐며 회의론적으로 보는데
3상 임상결과에서 인지능력이든 뭐든 제대로 밝혀질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