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5년 조선시대 학자도 조롱하던 지구 평평설
댓글 0

작성자 : 개장수11
게시글 보기
스포츠중계,무료스포츠중계,해외스포츠중계
하늘은 둥근 뚜껑으로 되어 있고 땅은 평평하다는 주장이다. 
중국에서는 춘추전국시대를 거쳐 전한대(前漢代)까지 널리 믿어졌다 
 
우리나라는 이 개천설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複刻天象列次分野之圖 刻石) 1395년
스포츠중계,무료스포츠중계,해외스포츠중계
태조 4년 제작 
하늘을 12등분한 후 1,467개의 별들을 점으로 표시하였다. 
이 그림을 통해 해, 달, 5행성(수성, 금성, 토성, 화성, 목성)의 움직임을 알 수 있고, 그 위치에 따라 절기를 구분할 수도 있다.
 
스포츠중계,무료스포츠중계,해외스포츠중계
 
태조 4년(1395)에 제작된 이 석각 천문도는 중국 남송의
 『순우천문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것이다. 
 
해당 석상에는 당시 제작한 사람들의 이름과
조선학자 권근이 쓴 
당시 6대 우주론에 대한 글이 남아있다
 
 

 





 

혼천설 (渾天說) 

 

“하늘은 둥근 공(구)이고, 땅은 그 안에 떠 있다.”

 
 




 

개천설 (蓋天說) 





 

“하늘은 접시 뚜껑처럼 평평하게 덮여 있다.”

 

 





 

선야설 (宣夜說)





 

“하늘은 없다. 우주는 끝없는 어둠(밤)이고, 별은 기운(氣)의 응결이다.”

 
 




 

안천설 (安天說)





 

“하늘은 고정되어 있고, 천체만 그 안에서 움직인다.”

 

 





 

흔천설 (昕天說) 





 

“하늘은 오목한 구조로 땅을 감싸고 있으며, 위로 갈수록 얇아진다.”

 

 





 

궁천설 (穹天說)

“하늘은 둥글고 텅 비었으며, 땅을 감싼다.”

 
 
여기서 혼천설은 이런느낌이고
 
스포츠중계,무료스포츠중계,해외스포츠중계

 
개천설은 이런 느낌이다
 
스포츠중계,무료스포츠중계,해외스포츠중계

 
그리고 조선의 학자 권근은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이렇게 적었다.
 
“전통적으로 우주관에는 6가지가 있는데 
 
전통적 우주관은 혼천설이 옳고, 
개천설은 학자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개천설을 포함한 나머지 5가지는 
본받을 이론이 못 된다.”
 
스포츠중계,무료스포츠중계,해외스포츠중계

혼천설은 비록 천동설 기반 이지만
정교한 달력제작이나 천체운동을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스포츠중계,무료스포츠중계,해외스포츠중계

스포츠중계,무료스포츠중계,해외스포츠중계

 
그런데 왜…21세기에 


개장수11님의 최신 글
유머게시판
제목
  • 청계천 복원사업 비포/애프터 비교 사진
    574 38분전
  • 어질어질한 주차사고 빤스런
    536 45분전
  • 조카랑 불륜관계였던 숙모
    509 46분전
  • 졸업기념 학사모 던지는 여대생
    526 46분전
  • 아이폰 17 색상 라인업 루머
    577 56분전
  • 비행기 이륙하는데 앞바퀴가 90도 틀어짐
    543 57분전
  • 롤 신고 시스템 근황 ㄷㄷ
    579 58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