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범에 관해 흔히 하는 착각
댓글
0
07.09 19:12
작성자 :
더한마음

조선시대에는 호랑이와 표범 모두 범이라 불렀음
특히 민간에서는 호랑이와 표범을 같은 종의 암수 차이로 생각했음
그래서 단순히 범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들은 우리가 아는 호랑이가 아닌 표범인 경우가 많음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통계에 따르면 1919년부터 1943년까지 포획된 표범은 624마리로, 같은 기간 잡힌 호랑이(97마리)의 여섯 배를 넘었다고 함
이 때문에 1924년 강원도 횡성에서 사살된 호랑이를 끝으로 3·8선 이남 지역에서는 호랑이가 완전히 사라졌지만,
개체 수가 많았던 표범은 해방 이후에도 3.8선 이남에서 살아남았음 1945년부터 1970년까지 18건의 표범 포획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함
더한마음님의 최신 글
- 07.09 아파트 관리실 전원 사직 공고는 엄청난 ufc임
- 07.09 요즘 7,000원짜리 학식 수준
- 07.09 임진왜란 이순신 장군에 가려진 숨은 공로자들
- 07.09 ai가 알려주는 ai 야짤이 안끌리는 이유
- 07.09 또 역대급 폭로 떠버린 커뮤.. “복귀하면 강간하겠다”
- 07.09 기대 이상이라는 인도 길거리 즉석 아이스크림
- 07.09 한국에서 러브버그로 난리일때 호주 상황
- 07.09 71살인데 백반집 가게 정리 거절하는 어르신
- 07.09 재입대 마려워지는 요즘 군대 식단 위엄 ㄷㄷㄷ
- 07.09 2025년 최신판 대한민국 대학교 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