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사투리 중 가장 이질적인 지역 사투리
댓글 0

작성자 : 더한마음
게시글 보기
스포츠중계,무료스포츠중계,해외스포츠중계



육진 방언.

다른 지역은 남도/북도 사투리로 나뉘는 한편, 함경도 사투리는 남도/북도/육진으로 나뉩니다. 육진 방언은 아예 다른 사투리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죠.

육진은 세종대왕이 개척한 4군6진 중 6진 지역입니다. 함경북도 최북단이죠.

이 지역은 서울에서 제주도보다도 훨씬 멀고, 칭다오와의 거리와 맞먹습니다. 거리가 멀고 오지라서 표준어의 영향력이 적고 타 지방과 사투리에서 이질성이 강해졌습니다. 그래서 옛 한국어의 흔적을 가장 많이 간직하고 있기도 합니다.

육진 방언의 가장 큰 특이점은 ‘~요’ 어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랬슴까?’ ’아이 했슴다’ ‘니 어데갔니?’ 등등.

육진과 접한 지역이 연변이기 때문에 조선족 사투리는 이 육진 방언을 근간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자주 듣는 조선족 말투가 이 육진 방언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면 됩니다.

탈북자가 워낙 많은 지역이라 21세기에는 한국에서 인식하는 북한말의 이미지가 평양말이 아닌 이곳 육진방언인 경우가 많죠.


더한마음님의 최신 글
유머게시판
제목
  • 요즘 있는 집이면 다 한다는 것
    610 07.22
  • 아이들 사진을 잘 찍는 방법
    659 07.22
  • 은근히 어려운 직장인 밸런스 게임
    605 07.22
  • 여름에 먹기 좋다는 깻잎 냉파스타
    635 07.22
  • 완결 안 나는 대표적 순정만화
    587 07.22
  • 누가 더 성형수술 잘된 거 같음?
    582 07.22
  • 화목한 가정은 아버지가 결정한다
    752 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