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사투리 중 가장 이질적인 지역 사투리
댓글 0

작성자 : 더한마음
게시글 보기
스포츠중계,무료스포츠중계,해외스포츠중계



육진 방언.

다른 지역은 남도/북도 사투리로 나뉘는 한편, 함경도 사투리는 남도/북도/육진으로 나뉩니다. 육진 방언은 아예 다른 사투리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죠.

육진은 세종대왕이 개척한 4군6진 중 6진 지역입니다. 함경북도 최북단이죠.

이 지역은 서울에서 제주도보다도 훨씬 멀고, 칭다오와의 거리와 맞먹습니다. 거리가 멀고 오지라서 표준어의 영향력이 적고 타 지방과 사투리에서 이질성이 강해졌습니다. 그래서 옛 한국어의 흔적을 가장 많이 간직하고 있기도 합니다.

육진 방언의 가장 큰 특이점은 ‘~요’ 어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랬슴까?’ ’아이 했슴다’ ‘니 어데갔니?’ 등등.

육진과 접한 지역이 연변이기 때문에 조선족 사투리는 이 육진 방언을 근간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자주 듣는 조선족 말투가 이 육진 방언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면 됩니다.

탈북자가 워낙 많은 지역이라 21세기에는 한국에서 인식하는 북한말의 이미지가 평양말이 아닌 이곳 육진방언인 경우가 많죠.


더한마음님의 최신 글
유머게시판
제목
  • 나이스 투 미츄 법명 ㅋㅋㅋ
    561 07.12
  • 돼지 사료를 인간에게 먹인 왕
    627 07.12
  • 일본 레슬링 사상 가장 잔혹한 기술 
    603 07.12
  • 수능 치자마자 전신마비가 된 여고생 
    597 07.12
  • 스페인 열병식 레전드 ㄷㄷ
    683 07.12
  • 양자역학이 너무 쉽다는 카이스트 교수님
    620 07.12
  • 텅텅 빈 안양1번가 근황
    592 07.12
  • 당근마켓 자살 협박
    641 07.12
  • 무시무시한 한국인의 나쁜 식습관 
    658 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