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군이 오른쪽에 칼을 차는이유
댓글
0
07.05 17:50

고대 전쟁사를 보면 집단,민족과는 상관없이 어느 지역에서든 왼쪽 착검이 당연했습니다.
당연하게도 오른손잡이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빠르게 편하게 검을 뽑고 넣기 위해서죠
하지만 로마군을 본다면
오른쪽에 착검을 하고 있습니다. 유럽을 재패했던 로마제국에 왼손잡이 많아서일까요?
사실 오른쪽 착검 사례가 로마군만의 특유의 습성이 아니었습니다.
북유럽 내에서도 일부 오른쪽 착검이 관찰 되었는데
그렇다고 해서 오른쪽 착검이 보편적이었다는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로마군처럼 오른쪽 착검을 본격적으로 체계화 한 사례는 없었습니다.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알아 보겠습니다.
사실 로마군은 카르타고와의 전쟁까지는 그리스의 영향을 받아 원형 방패와 긴창을 이용한 팔랑크스전술이 주류전술이었습니다.
하지만 로마군은 어떠한 사건으로 전술을 대대적으로 개혁했습니다.
때는 카르타고와의 전쟁이 한창이던 시점 한니발의 거점인 카르타노고바를 박살내기 위해 출정을 하는데
어디 강원도 철원 아니고 카르타노고바가 위치했던 스페인 카르타헤나입니다.
이때는 위에 서술한것처럼 팔랑크스 전술이 주류였던 시점으로
좁고 구불구불하며, 험지인 이런 곳에서 평지처럼 팔랑크스 전술을 짜기란 사실상 불가능했습니다.
이런 길에서 습격이라도 받는다면 로마군은 속절없이 당할수 밖에 없을겁니다.
우려는 현실로 어느 한 부족이 로마군을 습격을 하는데 바로 카르타고와 손을 잡은 현지 부족이었습니다.
습격을 당해 추풍낙옆처럼 쓰러지는 로마군
그들이 쓰던 무기가 바로
글라디우스였습니다.
좁은 산길에서 습격을 당한 로마군은 대형도 제대로 짜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당했으며
이들이 사용하던 방패 또한 머리를 제외한 온 몸을 방어할수 있는 사각방패 였습니다.
그러니 공격을 해도 먹히지 않고 속수무책으로 당할수 밖에 없던겁니다.
이에 영훈까지 탈탈털린 로마군은 이들을 철저히 벤치마킹을 하여 어느지역에서 전투를 하던 상관없이
동일한 전투력을 발휘할수 있는 글라디우스와 사각방패의 효율을 극대화 한 전술이 바로
테스투토라고 불리는 사각방진 입니다.
영화나 게임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로마군의 사각방진 전술입니다.
보이는것처럼 적들의 화살과 검을 막아내기 위해 다닥다닥 붙어있는 내부는 굉장히 좁을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곳에서 왼쪽으로 손을 뻗어 검을 뽑아 쓸수 있을까요?
뽑다가 동료 팔을 베거나, 방패에 걸리거나 굉장히 힘들겁니다.
하지만 오른쪽 착검이 되어있다면 짦은 글라디우스는 걸리는거 없이 빠르게 뽑아,
방패 사이로 찔러 돌격하는 적들에게 지옥을 보여줄수 있을겁니다.
유렵과 아프리카를 제패한 로마제국의 전술 이면에는 이러한 디테일이 숨어있었습니다.